[조수빈의 독서칼럼] 모두가 동일한 세계, Harrison Bergeron

about equality

경쟁을 원하는가? 고등학생들은 친구들과의 상대평가를 통해 경쟁하며 대부분의 고등학생은 절대평가를 원한다. 고등학생을 넘어 성인이 되어서도 우리는 취업 준비를 할 때 여러 사람과 경쟁한다. 우리 사회는 끊임없는 경쟁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사람들은 경쟁을 좋아하지만은 않는다. 경쟁이 없어지기를 바라는 사람들도 있다. 경쟁이 이루어지는 이유는 자원, 혹은 일자리 등은 한정되어 있고 모든 사람의 능력이 다르기 때문에 능력을 통한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자원을 무한하게 만들 수는 없다. 그렇다면 사람의 능력을 똑같이 만들면 경쟁이 없어질까?

 

 

풍자 소설로 유명한 작가인 커트 보네것 주니어의 도서, Harrison Bergeron은 모든 사람의 능력을 똑같이 만듦으로써 경쟁 사회의 개념을 없애버린다. 사람들은 각자 다른 지능을 가지고 태어난다.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들에 비해 똑똑할 수도 있고 어떤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에 비해 지능이 낮을 수도 있다. 이 사회에서 지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사람들은 특정한 이어폰을 끼고 생활하게 된다. 정부에서는 이 이어폰으로 시끄러운 소리를 지속해서 보내고 이를 통해 지능이 높은 사람들이 깊은 생각을 하는 것을 막는다. 이 소설에서의 주인공은 George와 Hazel이다. 이 둘은 Harrison Bergeron의 부모님이다. George는 상대적으로 높은 지능을 가지고 있어 이어폰을 끼고 생활하는 반면, Hazel은 '평범한' 지능을 가지고 있는 인물이다. 이 둘의 아들인 Harrison은 엄청난 지능을 가지고 있지만 어떤 이유로 감옥으로 끌려가게 된다. 그러나 George와 Hazel은 이러한 사실을 기억하지 못한다. 바로 귀에 달린 이어폰과 '평범한' 지능 때문이다. 또한 도서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Harrison이 죽게 되는데, 이 부분에서 Hazel은 울지만, 곧바로 자기 아들이 죽었다는 사실을 잊게 된다.

 

'평범한' 지능을 가진 사람이 자기 아들이 죽었다는 중요한 사실도 기억하지 못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말이 되지 않는다. 그런데도 이 책에서 '평범한' 지능이라고 표현한 이유는 이 사회와 연관되어 있다. 이 사회에서 '평범함'은 다른 사람과 동등한 것이다. 그렇기에 '평범한' 지능은 평균적인 지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낮은 지능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이 사회에서는 사람들을 하향평준화 시키기 때문이다. 심지어 말을 잘하는 아나운서에게 핸디캡을 달아 말을 못 하게 만들어 옆에 있는 발레리나가 아나운서의 말을 대신하게 만든다. 심지어 발레리나는 본인이 예쁜 목소리를 가졌다는 점을 사과한 후 자신의 목소리를 웃기게 변형시켜 말을 해야 했다. 이처럼 이 사회에는 공평함을 빙자한 모순적인 상황들이 굉장히 많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경쟁 없는 사회의 평화를 이어 나가고 있다.

 

이와 같은 경쟁 없는 사회, 공평하고 평화롭지 않은가? 모든 사람이 낮은 지능을 가지고, 모든 사람이 이상한 목소리를 가지고, 모든 사람이 똑같이 말을 잘하지 못하는 사회, 그것이 경쟁 없는 사회이다. 사실상 모든 사람이 동등한 능력을 갖췄기에 경쟁이 불가능한 사회라고 볼 수도 있다. 겉으로 보기에는 평화로워 보이기도 한다. 그런데 과연 자기 아들이 죽은 것도 기억하지 못하는 지능, 아나운서가 본인의 일도 똑바로 하지 못하도록 막는 정부와 같은 요소들이 올바른 사회상을 상징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점이 생긴다. 우리는 경쟁의 의미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아야 한다. 경쟁, 그저 스트레스 쌓이고 남들을 이기기 위해 자신과 남을 비교하게 만드는 요소일까? 혹은, 본인이 가진 능력을 최대한 향상하고 좋은 결과를 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며 사회의 전체적인 생산성을 증진하기 위한 요소일까? 이 도서를 읽으면서 경쟁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을 다시 한번 던지게 되었다. 경쟁을 원하지 않는가?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