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연서의 시사 칼럼]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대한 혐오 막으려면

기업, 노동자 모두에게 득이 되는 택배분류 인공지능 기술을 중심으로

칼럼 ‘산타클로스의 악몽’을 작성하면서 택배기사가 처한 열악한 현실에 대해서 알았고 지난 5월에 택배 총파업이 진행됐고 이후 노조, 기업, 정부로 구성된 택배기사 과로방지대책위원회에서 합의를 했다. 이때 가장 문제가 되었던 것이 바로 ‘분류작업’이다. 전부터 택배기사 과로사의 가장 큰 원인으로 뽑혔었는데 이에 별도의 인력을 투입한다고 했지만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계속 분류작업에 대해 공짜노동을 하게 되어 결국 이에 대해 억울함을 느껴 파업을 하게 된 것이다. 분류작업을 인력을 투입하는 방법으로만 해결할 수 있는 것일까? 인공지능 기술이 날이 갈수록 발전하고 있는 가운데 택배 분류작업에 도움을 주는 기술이 어떤 것이 있을지 찾아보았다.


택배 분류작업의 부담을 덜어주는 기술로 먼저 ‘자율이동로봇’에 대해서 소개하겠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물류센터 내 작업자 안전 개선을 위해 자율이동로봇을 도입하고 있다.  CNBC에 따르면 아마존은 자율이동로봇 4종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이 로봇들은 주문 물품을 보관 장소에서 찾아내 분류하고 정리하는 작업(피킹) 단계에 투입되며 바닥에 설치된 마그네틱 센서를 통해 스스로 움직이는 이 로봇은 작업자를 쫓아다니는 데 그치지 않고 스스로 물건들을 실어나르거나, 작업자의 요청에 따라 창고 내에서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다.1


우리나라의 사례도 살펴보자. 바로 ‘QPS’기술이다.  샛별배송으로 유명한 ‘마켓컬리’ 회사에서 도입된 분류작업 기술이다. 마켓컬리가 살아있는 생선, 전복 등을 취급하며 차별화 전략을 신선식품 물류 기술에 쏟아 부은 배경이다. 김포센터에는 LG CNS와 함께 개발한 'QPS(Quick Picking System)' 기술이 적용됐다. 입고된 식품이 벨트를 타고 포장 담당 작업자를 찾아가 분류와 포장 시간을 단축했다.2


앞서 우리나라와 외국의 사례를 찾아봤다. 이처럼 인공지능을 활용해 분류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번에 진행됐던 택배 노동자 파업의 핵심 과제인 ‘분류작업’을 앞서 소개한 기술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 이런 기술이 상용화되지 않은 상태에선 기술을 통해서 해결하기엔 비현실적이다. 따라서 자율이동로봇과 같은 기술을 개발하되, 그 논의를 뒤로 미루지 말고 지금 시급한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 이번에 이뤄진 2차 합의로 분류작업에 대한 추가 인력을 회사 측에서 부담하고 택배기사의 업무에 대한 기준을 권고문에만 명시하지 말고 실제로 이뤄지도록 계약서 개정이 하루빨리 되어 공짜 분류작업이 이뤄지는 불합리한 관행을 막아야 한다. 분류작업을 완벽히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상용화되었다고 가정해보면 마냥 택배기사의 부담만 줄어드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다수의 택배기사 해고당하거나 수입이 줄어들 수도 있을 것이다. 변동된 사회구조로 인해 일자리를 잃을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 앞으로 고용보험의 필요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고용보험에 대해서 소개하겠다. 우선 ‘고용보험’이란 근로자가 실직한 경우에 생활 안정을 위하여 일정 기간 급여를 지급하는 실업급여사업과 함께 구직자에 대한 직업능력개발·향상 및 적극적인 취업 알선을 통한 재취업의 촉진과 실업 예방을 위하여 고용안정사업 및 직업능력개발사업 등의 실시를 목적으로 하는 사회보험의 하나이다.3 특히 우리나라가 두 차례의 외환·금융위기를 거치면서 상당수의 실업자가 발생하는 등 사회적 위기에 직면하였을 때 고용보험제도의 작동이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택배기사와 관련된 고용보험법을 찾아보니, 지난 7월 1일부터 특고 직종(방문강사, 택배기사 등 12개 직종)에 고용보험을 적용하고, 보험료를 50% 범위에서 한시적으로 경감한다고 한다.


‘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다 빼앗을 것이다’라는 말도 있지만 앞선 사례를 합리적으로 적용한다고 가정하면 기술발전으로 인해 소비자, 기업가, 노동자 모두가 편의를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문화 지체’를 반드시 예방해야 한다.  ‘문화 지체’는 물질기술은 계속 발전해 앞서가지만  법, 제도, 인식 등이 이에 따라가지 못하는 현상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앞서 제시한 고용보험 등과 같은 사회보장제도로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해야 할 것이다.


 ‘QPS’와 ‘자율이동로봇’을 통해 택배 노동자 파업의 주 과제인 ‘분류작업’에 대한 인력 문제를 ‘자율이동로봇’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처럼 ai 기술을 통해 더 많은 사람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희망적 전망과 더불어 일자리 관련 문제에 대해서도 살펴봤다. 이런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충분히 대비하지 않으면 그림자가 반드시 따라오게 된다.  기술 발전에는 사회적 합의가 도입되어 ‘문화 지체’ 현상을 막아야 한다. 법을 통해 일정 기준을 마련하는 것과 사회변동으로 인한 위태로워진 개인을 보호하는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논의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시대의 흐름에 따른 사회문제를 예측하고 이에 대해서 모두가 관심을 두는 것일 것이다. 우리가 기술을 ‘혐오’하지 않고 ‘공존’하는 사회를 만들어 가길 바란다.
 
각주

1.참고 https://biz.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1/06/14/NZYVADFXQNFOJFAFWAATKXAOWA/?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2.인용  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24024409
3.인용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2421&cid=46625&categoryId=46625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