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윤의 독서 칼럼] 난장이의 공은 어디에 있을까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은 1970년대 도시 빈민층의 삶을 다룬 연작 소설로 이 시대를 대표하는걸작으로 평가된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은 가난한 사회적 약자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함으로써 1970년대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였던 노동 현실과 가난을 벗어날 수 없는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이 책의 주인공인 영수 가족은 왜소하고 경제력이 부족한 공동체로 아버지, 어머니, 영수, 영호, 영희 삼 남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무허가 주택지에 살고 있는데, 거주 지역이 재개발 지역으로 선정되면서 집을 철거하고 아파트 입주권을 받아 아파트로 들어가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하지만 경제적으로 매우 불우한 축에 속하는 난장이 가족들에게 아파트 입주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였고, 때문에 난장이 가족은 아파트 입주권을 팔게 된다. 판 입주권을 되찾기 위한 과정에서 벌어지는 영희의 이야기와 공장에 다니는 영수와 영호의 이야기 등 난장이 가족이 처한 비극적 현실을 극대화하는 에피소드와 함께 결론부에서 난장이 아버지는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갈수록 열악해지는 가정 환경을 보곤 가장으로서의 책임을 다하지 못했다는 죄책감으로 인해 스스로 삶을 마감하기를 택하며 이야기는 마무리된다.

 

1970년대를 배경으로 한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은 현재까지도 청소년 권장 도서로 지정되는 등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그 이유는 이야기 속 난장이 가족들이 아직까지도, 혹은 그때보다 훨씬 많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추측해 볼 수 있다. 오늘날 난장이 가족은 독거노인, 기초 생활 수급자, 다문화 가정 혹은 외국인 노동자 등 사회적 약자 계층에 속하는 인물들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경제와 사회, 모든 것이 발전한 21세기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회에는 사회적 경제적 약자 계층이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물론 이러한 가난이 개인 역량의 부족이나 노력의 부족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원인은 계층적 차이를 극복하기 어렵게 된 사회 구조의 문제이다. 1960년대부터 70년대 우리 사회에는 대기업 위주의 성장 정책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대기업 위주의 성장 정책이 사회, 경제적 약자가 자신의 힘으로는 가난을 벗어날 수 없도록 만들었다. 꾸준히 이슈가 되고 있는 수저 논란이 그 예라고 볼 수 있는데, 금수저를 물고 태어난 이들과 흙수저를 물고 태어난 이들은 같은 노력을 하더라도 출발점이 다르기 때문에 결과에 있어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 앞서 말했듯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가난을 벗어나지 못하는 가장 근본적이고 바탕이 되는 이유는 사회 구조의 문제이기 때문에 우리는 정부의 역할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정부가 나서서 빈민 구제 정책을 펼치되 그들의 소득을 지원하는 것이 아닌 자립을 지원하고 그 과정에서 상위 계층이 주는 부정적인 영향을 통제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은 1970년대 사회 빈민층의 모습을 꼬집고 있지만 그 모습이 곧 현재 우리 사회의 모습이기도 하기 때문에 우리는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통해 우리 사회의 구조적 문제점 및 가난의 대물림 등의 모순점을 확인할 수 있다. 난장이가 아무리 공을 쏘아 올리더라도 보이지 않게 되는 모순적인 구조의 사회를 우리는 고쳐나가야 할 것이다.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