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세연의 시사 칼럼5] 우리 사회의 정보 격차에 대한 고찰

정보부자와 정보빈자, 정보격차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정보 통신 기술, 미디어 기기는 경제활동과 의사소통에 대한 시간적, 지리적 장벽을 없애주어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 해주곤 한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정보화 혜택이 사회의 모든 계층에게 분배되지는 않는다. 인종, 연령, 교육수준, 가구 소득, 지역 등에 따른 정보 접근 및 이용 격차는 많은 연구와 사례들에서 확인되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정보에 대한 접근과 이용이 불균형하게 나타나는 '정보 격차' 현상에 대한 원인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진행되어 왔다고 한다. 정보 혜택을 받는 정보 부자와 그렇지 못한 사람들을 정보 빈자라고 은유한다고 한다. 정보 격차는 '정보격차해소에 관한 법률 제2조 1항 1호'에 '경제적, 지역적, 또는 사회적 여건으로 인하여 정보통신망을 통한 정보 통신 서비스에 접근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기회에 있어서의 차이'라고 명시되어 있기도 하다. 정보 격차의 해소를 위해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노력도 많이 해왔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과연 정보 격차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정보 격차는 왜 문제가 되는 것일까?

 

 

정보 격차는 어떤 개인이나 집단이 통신 기술에 물리적으로 접근하고 있는가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좌우되지는 않는다고 한다. 정보통신 기술에 대한 접근은 정보 격차를 해소하는 필요조건일 뿐, 충분조건이 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것이다. 비용지불능력의 제약, 사용방법에 대한 이해 부족, 개인이 처한 문화적인 상황 등의 요소들이 정보를 활용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사람들은 평등하게 존중되어야 하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은 동등한 수준의 정보를 제공받을 권리 또한 가지고 있다. 디지털 경제 사회가 고도화 될수록 디지털화와 정보 격차 발생의 정도는 가속화될 것이다. 한편 취약 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지만 일반 국민에 비해서는 낮은 실정이라고 한다. 디지털 경제 사회에서 개인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장애인, 노인,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디지털 역량 및 활용 수준 향상을 위해 실생활 중심의 디지털 정보화 교육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본다.

 

정보 격차의 해소는 단순히 컴퓨터 등의 하드웨어의 균등한 분배를 의미하지 않고, 사람들이 자신들이 가치 있다고 판단하는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자신들이 원하는 삶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우리는 정보 격차의 해소가 과연 무엇의 평등을 얻고자 하는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제는 개념이 '정보격차'에서 '정보차이'라고 변환될 때까지 모두가 더 노력해야 하는 시점이다.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