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진의 문화 칼럼] 우리만 모르는 우리의 멋, '조각보'

몬드리안보다 100여년이나 앞선 우리 조상들의 예술적 안목

 요즘처럼 비닐봉투나 책가방이 없던 시절, 우리 조상들은 보자기를 사용했습니다.

봄이 오면 겨울 이불을 보자기에 싸서 장롱에 넣어놓았고. 옆집에 가져다 줄 떡도 보자기에 쌌고 , 또 서당에 글공부하러 갈 때도 보자기에 책을 쌌습니다. 우리가 일상 속에서 순서를 정하거나, 술래를 정할 때 사용하는 가장 흔하고, 또 가장 공평한 방식인 가위바위보 놀이에서 '보'가 바로 이 보자기를 의미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보자기 중 우리 조상들의 절약정신과 함께 더 나아가 예술혼과 개성을 엿볼 수 있는 녀석이 있습니다. 바로 조각보입니다. 재봉틀이 없던 시절, 바느질의 고수였던 여성들은 집안 사람들의 옷을 천을 사용하여 바느질로 한땀 한땀 직접 만들었습니다. 그렇게 해서 옷에 사용되고 남은 천 쪼가리들을 버리지 않고 모아 형형색색 이어 붙인 것이 바로 이 조각보입니다.

 

 

 

조각보를 가만히 보고 있으면 왜인지 편안한 마음이 듭니다. 너무 완벽하고 인위적인 것을 추구하기보다는 물 흐르듯 자연스러운 것을 추구하는 우리 민족의 고유한 성격을 엿볼 수도 있습니다. 공간의 자유분방한 활용과 우리 고유의 색감이 어우러져 생활 용품이라기보다는 예술 작품이라는 생각까지 들 정도입니다.

미술에 관심이 있다면 한 번쯤은 들어보았을 법한 20세기 최고의 추상파 화가 몬드리안의 화풍을 100여년이나 일찍 구현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도 한 것이 바로 우리 조상들의 조각보입니다. 실제로 미국의 한 디자이너가 한국을 방문했을 때 한 조각보를 보고서는 몬드리안 작품에 전혀 뒤지지 않는 아름다운 디자인 감각이라며 칭송을 하며 어떤 훌륭한 예술가의 작품인지 물었다고 합니다. 사실 조각보가 이름 없는 조선의 어머니들이 만든 생활용품이라는 것을 알게 된 그 디자이너는 한국의 전통문물에도 대단히 훌륭한 디자인이 많은데  한국 디자이너들이 이러한 것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유럽의 디자인을 따라가려고만 하는 것을 안타깝게 여겼다고 합니다. 

 

 

오늘날의 세계화 시대에서 각 나라들은 자신들만의 개성을 살려 국가 이미지를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혹시 우리가 우리 고유의 멋의 가치를 보지 못하고 다른 나라의 문화와 예술을 따라하려고 하지는 않는지 진지하게 생각해 볼 때입니다. 가장 한국다운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라는 말을 되새길 필요가 있겠습니다.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