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다솜의 시사 칼럼]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 옳은 행위인가

감정적 대응이아닌 논리적인 대응이 필수적인 현 상황

 

 

한국 대법원에서 강제 징용자 보상을 한국 내 일본 기업으로부터 강제환수로 처리하는 것을 합당하다고 인정했다. 이에 따라 위 판단은 현재 일본 정부로선 절대 받아들일 수 없는 것으로, 배상이 치러지면 명목상으로도 일본 제국 시절의 과거사를 인정하는 꼴이 되게 된다.

 

하지만 그간 현 일본 정부는 한국이 주장하는 과거사가 왜곡되었다고 주장해 왔으며 아베는 한국으로부터 일본 기업, 그 중에서도 특히 일본의 현 정권 유지에 가장 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는 미쓰비시가 피해를 보면 그동안 호경기로 지지율을 이끌어온 현 정권에 큰 피해가 될 것을 우려 하였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한 책임을 본인들이 아닌 한국으로 돌려버리는 것이 좋겠다고 본 것이다. "한국은 신용할 수 없는 나라"이기에 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를 선언, 일부 품목, 그 중에서도 반도체에 대해 한국과의 자유무역을 중단한다는 발표를 하였다.

 

이는 직접적인 총이나 칼과 같은 무기만 들지 않았을 뿐, 경제적으로 위축시키려는 무역전쟁으로 볼 수 있다. 한국의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반도체인데, 이를 못 만들게 원료 공급을 억제하겠다는 것은 아예 굶어 죽으라는 뜻이기에 한국과 일본 사이 불편한 관계가 형성되었다.  심지어 원료 공급을 제한하는 이유조차 불분명한 가운데, 이번 경제제재가 정치하고 연계된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을 품게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한국 대다수의 민심은 "일본이 우리에게 일부러 물건을 팔지 않겠다면, 즉 한국의 산업을 위축시킨다면, 우리도 일본의 물건을 팔리지 않게 하겠다!"라는 여론이 들끓어 본격적인 불매운동이 시작되었고, 일본 상품에 대한 보이콧 운동을 진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불매운동 제품의 종류로는 CASIO, UNIQLO, 7ELEVEN, 데상트, ABC-MART, 등이 있다. 이에 짧은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일본제품에 대한 비구매율은 높아지고 있다. 사실 한국은 일본과의 과거 좋지 않은 역사가 있기 때문에 서로 간 관계에 있어 예민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막연한 적대심을 가지기보다는 서로 주의하며 행동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이러한 일본의 반도체 제품에 대한 수출규제로 인한 무역전쟁이 시작된 이상, 이에 현명하게 대비하는 모습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