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수의 사회 칼럼]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악습, 마녀사냥

과거 필자는 웹서핑을 하다가 한 뉴스를 보게 되었다. 2019년 10월 14일 연예인 설리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이었는데, 이에 대하여 그녀의 애인이었던 최자의 SNS에 네티즌들이 수많은 공격성 댓글을 달아대었다는 내용의 기사였다. 필자는 이를 보고 '마녀사냥'이라는 행위를 떠올렸다.

 

마녀사냥이란 당대 유럽 도시에서 벌어진, 중세 도시에 현존하는, 아니. 정확히는 존재한다고 믿는 마녀의 존재에 대한 고발과 처형을 뜻한다. 현대에는 나름의 비유적 표현으로, 대중이 어떠한 대상에게 집중적으로 SNS 등을 통하여 공격하는 것을 뜻한다. 주로 어떠한 사건의 몰이해로 인하여 그 대상의 잘못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혹은 그가 저지른 잘못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인스타그램 등 개인 SNS에 악성 댓글을 달아대는 행위를 마녀사냥이라 부른다. 마녀사냥의 기원은 페스트라는 유행병이 돌고 있던 16세기 중세 유럽 말기에서 비롯되었는데, 현대의 기준으로 봐도 잔인하고 부조리 하기로 이루 말할 수 없는 과정과, 그저 개인을 마녀로 몰아붙이기에 급급했던, 현대의 인민재판과 다름없는 재판을 통하여 진행되었다는 점 때문에 현재까지도 인간의 군중심리에 의거한 집단적 광기를 단적으로 드러내주는 매우 좋은 사례로 꼽힌다. 당시 중세시대의 마녀를 판별하는 방법 중에서는, 끝 부분이 뭉특한 바늘을 가지고 찌르는 척만 한 후 피가 나지 않으면 마녀라고 하는 것과, 손발을 묶고 물에 빠뜨린 뒤, 물에 가라앉으면 그대로 죽고, 부력으로 떠오르면 마녀로 감별되는 방법 등이었다. 한눈에 봐도 무슨 수를 써서라도 마녀로 감별하기 위한 장치로만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운 나쁘게 이 재판의 대상으로 선정된 후, 변명할 수도 없이 마녀로 감별되고 자백을 받고 죽이는 마녀재판을 통하여 계속해서 피해자를 증가시키는데 있어, 저들이 원한 것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바로 돈이다. 어떻게 되었든 자신이 마녀임을 인정한다면 전재산이 몰수당하기 때문에, 주 대상은 주로 보호자가 없는 부유한 과부로 선정된다. 즉, 단지 부유한 과부들의 재산을 탈취하겠다는 의도로, 마녀사냥은 계속해서 일어났던 것이다.

 

이러한 마녀사냥은 상술한 대로 현대에서도 일어난다. 2019년 발생한 버닝썬 게이트에서도 이와 같은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버닝썬 게이트는 정준영과 승리 등 연예인들이 모인 채팅방에서 서로 불법 촬영물을 주고받으며 유포한 사건이다. 여러 연예인들이 이 채팅방에 포함되어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져 논란이 매우 일어났던 사건이다. 그리고 이 무렵, 로이킴이라는 연예인 역시 이 사건에 연루되었다. 마침 이 무렵에, 로이킴 또한 정보통신망법을 위반하여 입건되었다. 그 때문에, 기자들과 언론들 에게서는 자극적인 기사가 쏟아져 나왔고, 그의 앨범 발매를 기념하여 본인의 이름을 따 만들어진 로이킴숲은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해 철거되었다. 또한 로이킴은 엄청난 도를 넘는 대중의 질타를 받으며, 사회적으로 매장되었다. 그러나, 로이킴은 해당 단톡방에 없었다. 정보통신망법 또한 로이킴이 한 연예인의 음란물 합성사진에 대하여, 이사진이 본인이 아니라고 알리기 위해 해당 사진을 공유했다는 것이다. 두 사건이 절묘하게 맞아떨어져서 생긴 오해였을 뿐이다. 그러나 이후에도 대중의 로이킴을 향한 질타는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다.2

 

 

 

이러한 "현대판 마녀사냥"의 특징은, 무지몽매한 대중들을 일부 계층이 선동하여 정치계층 등 특정 집단의 군중심리를 악용한 여론조작과 선동에서부터 비롯된다. 제대로 된 정보를 알지도 못한 채 남의 SNS에 무턱대고 공격 행위를 가하여, 자신이 옳은 행위를 하였다고, 정의를 실현했다고 믿는 경우가 많다. 자신이 타인의 SNS에 악성 댓글을 달며, 내가 이 사람을 응징했다며 정의를 실현했다고 믿는 것이다. 정의를 빙자한 악이다. 어쩌면 악보다 무섭다. 악은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만, 정의는 그것이 옳다고 믿는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악보다 더 위험하다. 만약 그러한 끔찍한 사상들이 개인이 아니라, 집단적으로 형성된다면 어떨까? 군중심리는 긍정적으로 작용하면 군중들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집단지성의 효과를 볼수 있겠지만, 만약 이것이 부정적으로 작용한다면 군중심리가 선동을 통한 집단적 광기로 승화 될 위험이 있다. 실제로도 군중심리는 대중의 자극적인 것을 좋아하는 심리에 기인하여, 긍정적인 효과보다는 오히려 부정적인 효과를 이끌어낸 경우가 많다.

 

우리 현대사회에서 이러한 마녀사냥을 근절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계속해서 일어나는 마녀사냥을 줄이기 위해서 우리가 가져야할 태도는 무엇인가? 먼저 자극적인 선동과 혐오를 이용하기만 하는, 사건의 당사자를 고려하지 않으며 갈등을 계속해서 유도하면서 사건을 키우는 뉴스사는 반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개인 역시 이러한 뉴스를 완전히 신용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알다시피 미디어는 자극적이고 편향된 정보를 다루는 경우가 많다. 여론조작에 속아 제대로 된 정보와 진실을 규명하지 않은 채, 언론의 선동에 속아 넘어가 집단적 광기에 편승하여 대상을 몰아넣는 개인의 행위 또한 중단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1:https://ko.wikipedia.org/wiki/마녀사냥

2:https://namu.wiki/w/정준영%20등%20불법촬영물%20제작%20및%20유포%20사건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