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준선의 사회복지 칼럼] 코다, 영 케어러의 복지사각지대에 관심을

 

 

얼마 전에 ‘코다’라는 영화를 보았다. 이 영화를 통해 처음 알게 된 용어이다. 코다는 청각장애 부모의 비장애 자녀를 일컫는 말이다. 이 영화 주인공은 코다로 어렸을 때부터 가족의 귀와 입이 되어 가족과 세상을 연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면에 가족의 생계를 위해 책임을 지다 보니 자신의 꿈을 향해 나아 갈지 갈등하는 그런 이야기들이 나온다. 이 영화에서처럼 가족의 장애 또는 중증 병을 가진 가족을 돌보는 청소년, 청년들의 복지 사각지대에 알아보고 개선할 점 등에 대해 알아보게 되었다.

 

보건복지부 2021년 통계를 보면 국내 청각 장애인 규모는 40만 명이 넘는데 코다의 파악은 정확하지 않다.1) 성장하며 부모의 버팀목이 되어주는 코다는 어렸을 때부터 수어도 익혀야 하고 말도 배워야 하는데 가정 여건상 어려움에 부닥쳐 있다. 그래서 말과 글을 배울 때는 많은 노력이 필요한 것이 현실이다. 어린 나이부터 책임을 무겁게 지고 있는 코다에게 공식적으로 배울 수 있는 수어 교육과 한글 교육 등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지원을 위해 코다의 파악이 더 시급해 보인다.

 

또한 우리 사회에는 어린 나이부터 가족 병간호에 아픈 영 케어러가 있다. 영 케어러는 부모나 조부모가 갑자기 장애가 생겨 청소년 때부터 간병하며 집안의 돌보고 있는 취약 계층의 청소년, 청년들이다. 일반적으로 중 고등학생은 부모에게 한참 보호받아야 할 나이이지만 이들은 오히려 하교 후에 밤늦게까지 아르바이트로 생계도 이어 나가야 하고 거동이 불편한 부모나 조부모의 병간호까지 해야 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작년 말에 큰 사회문제가 되어 존속살인이니 사회문제니 오가던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도 장애와 중증 병이 있는 아버지를 모시던 청년이 아버지의 부탁으로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하는 영 캐어러의 정말 가슴 아픈 일이 있었다.

 

우리 사회는 영 케어러가 얼마나 되는지 파악도 안 되는 것이 현실이다. 외국 사례를 보면 호주는 2010년부터 그리고 영국과 일본은 2019년부터 실태를 파악하였다. 그래서 이들에게 학비, 생활비, 병간호보조금 등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영 케어러의 공식적인 통계조차도 없다는 것이 우리 사회의 문제점이다.

 

국가는 이러한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 청년들의 빠른 실태 파악이 필요하다. 보건복지부와 교육부가 손을 잡고 협력하여 학생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전국 중, 고등학생 중 영 케어러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그들에게 의료비, 교육비, 자기 계발 지원금 등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우리 사회의 코다 그리고 영 케어러처럼 장애가 있는 가족들을 돌보며 병간호를 도맡은 이들에게 지원을 마련해 꿈을 이루며 살아갈 수 있게 발판을 만들어 주어야 할 것이다. 배움을 포기하고 빈곤에 시달리면 취약계층으로 계속 반복될 수밖에 없다. 정부와 지자체의 구체적 방안으로 지원책을 마련해 그들의 미래를 돌려줘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복지 사각지대를 빠르게 발굴하고 지원정책으로 누구나 행복한 세상이 되기를 기대한다.

 

참고

1)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68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