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시현의 사회 칼럼] MBTI를 맹신하면 안되는 이유

 

 

‘당신의 MBTI는 무엇인가요?’ MZ 세대들에게 있어 MBTI는 빼놓을 수 없는 질문이 되었다.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은 처음 만났을 때 MBTI를 통해 자신을 소개하곤 한다. MBTI는 사람들의 성격을 16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성격 유형 선호 지표이다. 많은 이들은 MBTI를 통해 자신의 자아를 탐구하고, 자신과 같은 MBTI를 가진 사람들과 공감대를 형성하며 동질감을 느끼고, 서로의 성향을 파악하려고 한다. 이렇게 MBTI를 공유하며 서로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고, 그에 맞게 사람들을 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MBTI가 유행하게 되면서, 다양한 프로그램에서도 이를 하나의 콘텐츠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성격 유형별 테스트가 유행하면서 이와 관련된 다양한 심리테스트 역시 유행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MBTI 과몰입’이라는 단어가 생겨날 정도로 MBTI를 맹신하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심지어 어떤 기업은 채용 공고에 특정 MBTI는 지원 불가하다는 문구를 쓰기도 한다. 어떤 사람인지 모르는 상태에서 MBTI 하나만 가지고 사람을 판단하고, 좋은 MBTI와 좋지 않은 MBTI를 구분 지어서 채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옳은가? MBTI는 과연 사람의 유형을 진정으로 대표할 수 있는 것일까? MBTI는 마이어스-브릭스 모녀의 작품인데, 모녀는 심리학 비전공자들이기 때문에 전문적이라고 할 수 없다. 또한 심리학계에서도 MBTI 검사의 정확성과 신뢰도가 떨어짐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MBTI를 맹목적으로 신뢰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한 재미 요소로만 바라보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1)

 

이렇듯 과학적으로 정확하지 않으며 상황이나 기분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MBTI를 맹신하는 것은 옳지 않다. MBTI를 통해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 다시 한번 고민해 보는 기회를 가지는 것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하지만 MBTI를 맹목적으로 믿는 것은 스스로를 정해진 틀에 가두는 것이다. 자신이 충분히 해낼 수 있는 일에도 ‘나는 소심한 성향을 가진 MBTI니까 할 수 없을 거야.’와 같이 생각하며 시도조차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우리 모두는 살아온 환경과 경험이 다르고, 각자 다른 개성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기 때문에 약 79억 명의 인구를 16가지 유형으로 판단할 수는 없다. 게다가 MBTI로 그 사람을 판단한다면 편견을 가지고 그 사람의 성격을 단정 지을 수도 있고, 그 사람만이 가진 특별한 모습을 볼 기회를 놓지는 것일지도 모른다. 알파벳 4자로 자기 자신을 표현하고 MBTI라는 틀에 자신을 가두기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나를 표현하고, 다양한 취미생활과 경험을 쌓아가며 나에 대해 알아가는 것은 어떨까? 이러한 과정 속에서 한층 더 성장하는 나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1) http://www.korea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59135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