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서연의 과학 도서 칼럼]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수 주간 베스트셀러 1위 자리를 차지하며 궁금증을 자아내는 제목과 인어공주의 신비스러운 표지의 책 하나가 계속 나의 이목을 끌었다.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니 제목 자체가 낯설고 난해하다. 시선을 끌기 위한 제목으로는 성공이다. 하지만 단순히 물고기 한 마리가 없어진 것도 아니고 어류가 존재하지 않는다니? 나는 이 책이 과연 저 말을 독자에게 어떻게 이해시킬지 궁금했고 '과연 그럴까?'라는 오기로 책을 집어 들었다.

 

이 책은 과학 전문 기자인 작가 룰루밀러가 분류학자이며 생물학자인 데이비드 스타 조던의 삶이 닮긴 회고록, 동화, 자서전 등을 통해 과학이라는 학문과 인간과 사회, 세상을 바라보는 생각의 흐름을 써 내려간 논픽션 에세이이다. 작가의 이야기, 데이비드의 이야기, 다윈의 진화론, 우생학, 민들레 법칙 등 과학, 철학, 우주, 인간을 두루 다뤄 깊이 있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처음 기대했던 것과는 다르게 중간 부분을 넘어가며 반전과 충격적인 우생학의 역사적 사실들이 나타나고 데이비드의 실체가 드러난다. 이에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의 의미를 해석하는 마지막 장과 작가가 남긴 에필로그는 혼돈, 허탈함, 아쉬움 등의 개운치 않은 여운을 남기며 책을 덮고도 계속 그 의미를 정리하고 생각에 빠지게 만든다. 

 

 

나는 이 책에 담긴 메시지를 세 가지로 요약하려 한다. 첫째는 작가의 메시지이다. 그녀는 본인이 양성애자라는 혼돈에 빠지며 인정할 수 없는 현실을 예전으로 되돌리기 위해 과학자 데이비드가 혼돈에 질서를 부여하고 역경을 극복하는 힘에서 그 답을 찾으려 한다. 하지만 기대했던 답은커녕 가려진 이면 속 데이비드를 둘러싼 처참한 실체와 마주한다. 작가는 물고기가 존재하지 않음을 깨달았을 때 당연히 혼란스러웠을 것이다. 하지만 그녀는 좌절하지 않고 물고기를 포기하며 희망을 찾는다. 즉 그녀는 세상의 이면을 부정하지 않고 본연의 모습을 인정하며 받아들이는 것으로 답을 찾아 독자에게 메시지를 준 것이다. 우리가 과학을 통해 보고 배웠던 세상! 그 이면의 세상도 있을 수 있음을 깨닫게 해준다. 이러한 메시지를 이해한 후 나도 물고기를 포기할 수 있었다.

 

둘째는 데이비드의 일생이다. 그의 놀라운 체험적 탐구력, 집중력, 혼돈에서 질서를 찾는 몰입력, 역경을 극복하는 '그릿' (끈질긴 투지)은 대단하다. 가장 인상 깊었던 장면은 데이비드가 오랜 시간 동안 분류하여 보관한 물고기들이 지진으로 쏟아졌을 때 물고기에 바늘을 꽂으며 물고기를 포기하지 않는 장면이다. 이 장면을 읽으며 나도 작가처럼 그로부터 뭔가를 배울 수 있겠다는 기대감에 가득 찼었다. 그러나 물고기를 포기하지 않은 집착을 넘어 그는 오만해졌고, 자기기만으로 변해가며 실망스러운 그의 실체가 드러난다. 그의 업적은 대단하다. 하지만 그 업적의 의도가 옳지 않다면 쌓아온 업적의 순수성에 의심을 받을 수밖에 없다. 혼돈에 질서를 부여하는 일은 좋지만, 분류학자로서 그가 우열을 가리는 방법, 계층 사다리, 자신이 세워온 질서를 무너뜨리지 않기 위해 벌이는 조작과 우생학을 지지한 그의 삶의 궤적을 보면 데이비드의 분류기준은 납득받기 어렵다. 피부 내로는 인간과 유사한 면이 많은 어류가 최하층으로 분류된 건 인간의 우월성에 대한 그의 오만한 신념 때문일 수 있다. 결국 결코 하등하지 않음에도 인간의 오만한 신념으로 최하층이 되어버린 ‘물고기’, ‘어류’라는 틀은 존재할 이유가 없다. 즉,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책을 읽기 전 과학은 언제나 참과 같은 존재였다. 하지만 과학자가 신이 아니듯 현재의 과학이 변치 않는 진리는 아니며 자연 그대로의 존재의 의미와 가치를 잊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다시 배웠다. 대자연 앞에서 인간은 겸손해야 한다. (참고 :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룰루밀러, p. 91~101)


셋째는 물고기(어류)의 의미다.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이 책에서 말하듯 인간이 우위에 있다는 프레임으로 만든 어류라는 분류, 물고기라고 부여한 이름은 더 이상 의미가 없다. 즉 대상의 실존적 가치가 더 중요함을 일깨워준다. 이는 물고기뿐 아니라 모든 존재가 대자연 앞에서는 다 똑같다는 것이다. 생각해보면 인간이 모든 면에서 가장 우월한 건 아니다. 기린은 키가 크고, 새는 하늘을 날고 멀리 본다. 꽃은 향기가 나고 일벌은 부지런하다. 잊지 말자. 다 같은 생명이며 누가 낫고 누가 부족함을 매길 필요가 없다는 것을.

 

책의 마지막 장을 덮으며 밀려든 혼돈은 나만 느꼈던 것이 아닐 것이다. 그만큼 물고기를 포기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조금만 더 생각을 정리해 보면 우리는 이미 이 멋진 책을 읽는 중에 새로운 희망을 얻었음을 알 수 있다. 실존 가치에 대한 깨달음과 과학의 또 다른 이면을 알아갈 희망에 기대가 찬다. 오기로 집어 든 이 책의 제목을 결국 두 손 들어  인정할 수밖에 없었지만 이런 소중한 깨달음이라면 오히려 내가 이긴 기분이 든다. 민들레는 누군가에게는 잡초이지만 누군가에게는 약초가 되고 염료가 된다는 '민들레 법칙'처럼 이 책은 우리가 스스로 과학자로서의 가치관을 심게 해주는 소중한 민들레가 될 것이다.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