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우리말, 순우리말

인터넷 발달에 따라 인터넷상에서 쓰이는 줄임말, 신조어 또한 계속해서 새로 생겨나고 있다. 그런데 신조어, 외래어 등의 사용이 점차 늘어나면서 순우리말의 사용이 줄어들고 있다. 순우리말이란, 우리말 중 예로부터 쓰인 우리말인 고유어만을 이르는 말이다.

 

한글은 세종대왕이 창제한 자랑스러운 우리말이다.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백성들이 쉽게 사용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의 애민정신 또한 느낄 수 있다. 한글은 여전히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1997년에는 훈민정음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한글은 다른 나라의 언어를 쓰지 않고 새로 만들어냈으며 과학적이며 체계적이고 효율성까지 지니고 있다. 일제강점기 당시 민족말살정책으로 일본이 우리말, 우리글을 사용하지 못하게 탄압하였다. 일본어로만 수업하게 했으며 창씨개명령을 공포했고 언론을 탄압, 한글로 된 신문과 잡지를 폐간하였다. 조선어학회는 일제가 우리말 사용 금지하자 우리말 큰사전 출판 준비했다. 그러나 조선 총독부가 치안 유지법 적용해 회원을 구속하고 큰사전 원고를 압수하였다. 하지만 일제에 탄압 속에서도 어려움을 이겨내고 해방 직후 우리말 큰사전 발간하여 끝까지 우리말을 지켜냈다. 그만큼 우리말은 더없이 소중하고 위대하며 아름답다.

 

 

'자몽하다', '포도하다', '망고하다', '매실매실하다' 이렇게 과일 이름 같은 단어들이 순우리말로 알려지면서 화제가 되었다. 의미는 당연히 다르지만 익숙하고 친숙한 과일과 이름이 같기 때문에 사람들이 더 관심을 가졌을 거로 생각한다. 그런데 사실 앞서 말한 네 가지 단어 중에는 순우리말이 아닌 것이 있다. ‘어떤 것이 마지막이 되어 끝판에 이르다’1라는 뜻을 가진 ‘망고하다’, ‘사람이 되바라지고 반드러워 얄밉다’2라는 뜻을 가진 ‘매실매실하다’는 순우리말이 맞지만 ‘졸릴 때처럼 정신이 흐릿한 상태이다’3라는 뜻의 ‘자몽하다’, ‘죄를 짓고 달아나다’4라는 뜻인 ‘포도하다’는 순우리말이 아닌 혼종어이다. 자몽하다(自懜하다), 포도하다(逋逃하다)는 한자가 쓰인 단어로 고유어가 아니기 때문에 순우리말이 되기 어렵다.5 그런데 이 사실을 몰라 순우리말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으리라 생각된다. 인터넷 기사들을 찾아봤을 때도 순우리말이라고 알려주는 기사들이 꽤 많았다. 앞으로는 이런 잘못된 점들이 바로잡혀지고 순우리말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길 바란다.

 

마지막으로 순우리말 단어 중 몇 가지와 그 뜻을 살펴보며 마무리하고자 한다. 능놀다-쉬어 가며 일을 천천히 하다.6 / 슬기주머니-남다른 재능을 지닌 사람.7 / 시나브로-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조금씩.8 / 윤슬-햇빛이나 달빛에 비치어 반짝이는 잔물결.순우리말의 사용이 점점 더 줄어들고 있는 요즘, 우리말의 소중함을 다시금 새겨보았으면 좋겠고 아름다운 우리말이 잘 보존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각주
1.인용 : https://ko.dict.naver.com/#/entry/koko/4e1c159328384494ac4474b72520ffd9 
2.인용 : https://ko.dict.naver.com/#/entry/koko/dbd38b1ed25c4065acd45990960a67c9 
3.인용 : https://ko.dict.naver.com/#/entry/koko/e84ee6571ca34e69b5202e33cc07adad
4.인용 : https://ko.dict.naver.com/#/entry/koko/5a8ed737a383461d9e61c1a29d06c140 
5.참고 :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189793
6.인용 : https://ko.dict.naver.com/#/entry/koko/aba5f4f931974065927a7f63b3e0de00 
7.인용 : https://ko.dict.naver.com/#/entry/koko/9079b555b6b24c1cbf4428f828be3ba5 
8.인용 : https://ko.dict.naver.com/#/entry/koko/ac1cce2db5db4ff28d7ab5419e0f831f
9.인용 : https://ko.dict.naver.com/#/entry/koko/415512edfe47445c88ea859081eb7fb3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