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다은의 사회 칼럼] 코로나19로 인한 교육 불평등

 

정의, 저울, 불안정한, 변호사, 법률, 법원, 중량, 기호, 불평등, 실루엣, 블랙, 로그인

 

지금 이 순간에도 전세계에는 다양한 종류의 불평등이 만연하며 이는 청동기 시대 사유재산이 생긴 이후로 지극히 당연한 현상이다. 그러나 그 불평등의 양상은 시대마다 조금씩 다를 것이며 우리의 인식 역시 그에 따라 바뀌어야 한다. 특히 코로나19 상황은 전세계인들에게 있어 생활의 모든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우리 생활에 큰 변화를 일으킨 코로나19가 사회 불평등에는 어떻게 작용했을지 궁금증이 생겼다. 

 

코로나19라는 특수한 상황은 모두에게 동일하게 영향을 주는 것처럼 보인다. 모두가 마스크를 쓰고 모두가 온라인 수업을 듣는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실상은 전혀 그렇지 않다. 코로나19는 교육에 있어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다. 중위권 학생들이 사라짐에 따라 성적이 양극화된 것이다. 그리고 이 양극화는 경제적인 요인에 영향을 아주 크게 받는다. 사교육이 많은 지역은 사라진 중위권이 최상위권으로 갔으나, 사교육이 적은 지역은 중위권이 최하위권으로 하락했다. 그 이유 중 하나로 온라인 학습 환경의 차이를 들 수 있다. 낡은 전자기기로 학습에 방해를 받은 기억 역시 경제적 상위 계층보다 하위 계층이 두 배 가량 많다. 그 외에도 코로나19로 인해 일자리를 잃은 비율 역시 경제적 하위 계층이 상위 계층보다 많고, 따라서 경제적 하위 계층의 자녀가 학원을 다니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진 것을 들 수 있다. 이렇듯 우리나라의 교육 불평등은 코로나19로 인해 심각해졌다.

 

나는 이러한 현상은 아주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누구에게나 평등하여 계층 이동의 사다리로서 기능해야 할 공교육이 그러지 못하는 현재 상황은 조속히 해결되어야 한다. 그 해결방법으로는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심한 경제적 타격을 입은 가정을 대상으로 특별 교육비를 지원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프린터, 전자기기 등 경제적 하위 계층의 자녀들 역시 온라인 학습에 용이한 환경을 제공받고, 문제집, 유료 인터넷 강의 등을 통해 학습 격차를 줄일 수 있다. 둘째, 다방면의 평가 기준을 도입해 학생들의 학습 실태를 파악해야 한다. 대면 수업과 달리 비대면 수업은 학생들이 수업을 잘 듣고 있는지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문해력 등 기초힉습이 잘 되어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부족하다면 보충 학습을 제공해야 한다. 또 단순히 성적뿐만 아니라 코로나19 시대에 새로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는 공동체 의식의 결핍 역시 비대면 교육을 할 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각자 집에서 온라인 수업을 듣다 보니 모둠 활동이나 쉬는 시간에 즐기는 단체 놀이 등으로 공동체 의식을 키울 수 있던 과거와 달리 자연스럽게 공동체 의식을 배울 기회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되고 있는 만큼, 교육 격차 문제가 조속히 해결되어야 한다.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