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아의 시사 칼럼]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 일본!

일본의 수출 규제 정책과 불매 운동

지난 7월 1일 일본의 아베 총리가 한국의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관련 소재 세 종류에 대해 수출 규제를 선언한 후, 두 나라 사이에 감정적 골이 깊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반일 감정으로 인한 일본 물품 불매 운동이 확산되고 있고, 이에 일본의 일부 네티즌들은 “한국은 약소국, 불매 운동 해 봤자 큰 타격 없다.”, “이대로 힘내서 단교까지 갔으면 좋겠다.” 등 조롱과 비난을 퍼부었다. 그러다 보니 유니클로 매출 17퍼센트 감소, 아사히 맥주 소비 13.5퍼센트 감소 등 불매 운동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과연 이 운동, 계속 해야 하는 걸까?

 

 

일본과 우리나라는 지난 역사 속에서 가해국과 피해국의 관계로 얽혀 있다. 일제 강점기라는 가슴 아픈 역사를 겪으며 우리나라의 국민들은 강제 징용과 징병, 위안부 등으로 큰 피해를 겪었고 이에 대한 일본과 우리나라의 입장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아베의 발언으로 두 나라의 관계가 급속히 냉각된 것은 이런 과거사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JTBC 뉴스 자료에 따르면 일본 수입품 중 소비재는 약 6퍼센트, 원자재가 약 42퍼센트, 자본재가 약 52퍼센트가 된다고 한다. 소비재라는 것은 일본에서 생산한 완성품, 즉 의류, 식품, 자동차 등 사람들이 직접 소비하는 재료이다. 원자재와 자본재는 물건의 원자재와 구성품으로, 국산 자동차, 노트북, TV 속에 들어 있는 것이다. 현재 우리 국민들은 소비재를 구매하지 않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이가 차지하는 비율은 10분의 1도 되지 않기 때문에 그리 큰 효과가 없을 수도 있다는 우려를 보이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일본 물품 불매 운동은 계속하여 확산되고 있다. 소비하지 않을 수 있는 물건이라도 소비하지 말자는 의견이 대다수이기 때문이다. 일본에 우리나라 국민이 가서 쓰는 돈이 연간 5조원이라고 한다. 이러한 비용을 일본에 소비하지 않으면 분명 일본 불매 운동은 더욱 더 활활 타오를 수 있을 것이다. 일본 불매 운동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할 수 있는 묵묵한 비폭력 시위와 같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제 보복은 서로가 패하는 전쟁과 같다. 일본의 수출 규제로 인해 우리나라의 대기업들은 단기적 타격을 받았을 것이고, 일본 또한 우리나라의 불매 운동으로 인해 큰 타격을 입었을 것이다. 불매운동을 통해 우리 국민의 단결된 힘을 보여주고 국산품 애용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기회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대결이 계속된다면 결국 양국의 사이가 틀어지고 양국 모두 경제적으로도 힘들어질 것이다. 국제 사회는 계속하여 변화하고 있고 서로의 상호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일본은 우리나라에게 과거의 역사에 대한 진심어린 사과를 하고 경제 제재를 풀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 역시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말고 냉철하게 대응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일본과 우리나라의 좋은 관계가 회복되기를 바란다.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