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연의 교육/시사 칼럼]학교에 다녀야 하는 이유를 교육의 힘에서 찾다.

"매년 몇 백명의 머릿속을 바꿔서 이 사회를 더 좋은 사회로..." 이세영 선생님이 말하는 ‘교육의 힘!’

 

 


 

아마 누구나 한번쯤은 “학교 가기 싫다.” 같은 말을 하는 친구를 본적 이 있을 것이다. 혹은 ‘내가 왜 학교에 다녀야 하지?’라는 생각을 해본 적도 있을 것이다. 왜 이런 말과 생각이 드는 것일까? 개인적이고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에는 학생끼리의 갈등, 선생님과의 갈등 과 같은 문제 혹은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이 의미없게 느껴지거나 ‘재미가 없다.’는 이유가 보편적 일 것이다.


 

마치 학교 가기 싫어하는 아이들이 생긴 이유를 뒷받침이라도 하는 듯이 최근 ‘스쿨 미투’와 더불어 ‘학교 내 폭력’은 그 거대한 규모와 범위를 자랑하며 수면 위로 올라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왜 학교에 다녀야하고 교육이 왜 중요한 것일까? 운암고등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치고 계신 이세영 선생님과 이런 질문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점점 커지는 학교/교사에 대한 불신, 이세영 선생님이 말하는 이상적인 학생과 교사의 관계는 무엇일까?


[질문: 가장이상적인 학생과 교사의 관계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선생님이 아이에게 가장 좋은 어른 혹은 이상적인 어른은 될 수 없고, 실수하고 잘못하지만 그런 시행착오를 겪어가면서 좋은 방법을 찾아갈 수 있는 그런 롤모델로써의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비춰 졌으면 좋겠어요. 아이들도 저 어른이 완벽하진 않지만 저렇게 좀 ‘잘 살아가려고 애쓰고, 노력하는 사람’이구나, ‘나도 저 사람처럼 살아봤으면 좋겠다’, ‘저 사람처럼 살아야 겠다.’ 라는 생각을 갖게 하면 좋을 것 같아요. 교사가 위인전에 나올 정도로 우리가 할 수 없는 일을 하는 정도는 아닐테니까.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어른들 중 에서 그래도 저런사람 정도는 본받을 만하다. 그런 역할을 교사가 해야하지 않을까.”


 

‘교사’에게 필요한 자세는 무엇일까?

 

[질문: 교사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 조언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요?]


“점점 교사가 직업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 것 같아요. 출근하고 퇴근하고 출근하고 퇴근하는. 근데 교사는 정말로 사명감이 필요한 직업인 것 같아요. 직업으로 생각하게 되면 애들과의 관계가 너무 사무적이게 되고, 자기가 딱 선 정해놓고 진행하게 되는데 사람을 만나는 일이고 특히나 예민하고 감수성이 풍부하고 상처 받기 쉬운 그런 나이때의 아이들과 만나는 일이라서 아이들한테 그렇게 대하면 아이들에게 상처밖에 안남을 것 같아요. 그냥 사랑을 줄 수 있는 그런 사람이 교사가 될 수 있음 좋겠어요. 직업이 아니라.”

 

이세영선생님은 교사라면 직업적으로만 다가가거나 사무적이기 보다 사명감을 가질 것을 강조 하셨다. 특히 질풍노도의 시기를 겪고 있는 ‘아이들’을 만나는 만큼 더욱 사랑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함을 강조했다.


교육이 중요한 이유

 

“이전에 사회적인 비판 같은 것을 수업시간에 한 적이 있었는데 한 학생이 그러더라고요. 선생님 여기 있지 마시고 국회로 가라고. 그래서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 국회는 단기적으로 법을 바꾸어서 바꾼다고 근데 나는 너희들의 머릿속을 바꿔서 이 사회를 바꾼다고, 근본적으로 바꿀 것”이라고, “그러기 위해서는 사람의 머리  속을 바꿔야 되고, 의식을 바꿔야 하고, 인식을 바꿔야 된다”고. 저는 일 년에 만나는 애들이 몇 백 명이잖아요. 그러니 매년 몇 백 명의 머리 속을바꿔서 이사회를 조금 더 좋은 사회로 만들기 위해서 애쓰고 있어요.”


이세영 선생님이 말씀하신 바와 같이 교육의 힘은 우리 사회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렇기에 교육이 중요하고, 교육자(교사)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점점 공교육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그만큼 점점 학교와 그 학교의 교사의 역할이 중요해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이제는 학생들의 공교육 참여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앞서 이야기한 학교내 폭력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고, 적극적이지 않은 학생들의 태도는 앞으로 공교육 확대에 걸림돌이 될 것이다. 학교 내 폭력은 다른 사회적 요인(국민들의 전체적 가치관, 갑을 문화 등)의 영향을 받은점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교사와 학생 하나하나가 변화하고, 기본을 지키는 자세를 유지한다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단순히 학교 내 폭력문제 해결은 학교 구성원에게만 책임을 묻자는 것은 아니지만, 한명 한명의 변화 또한 필요한 시기라고 판단된다.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