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종백의 축구 르네상스] 아시아의 호랑이여, 확실한 부활을 알려라

아시안컵의 해가 밝았다. 아시아의 호랑이 대한민국이 부활을 알려야만 하는 바로 그 대회 말이다.

 

이번 류축르에서는 조금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아시안컵의 전체적인 소개와 필자 개인의 이야기 그리고 항상 조심스러운 축구대표팀의 전망 예측 정도를 주제로 이야기하고자 한다.

 

# 류축르와 아시안컵

축구 기사를 처음 작성한 것이 2015년 겨울이었고 [류종백의 축구 르네상스]라는 이름을 가지고 본격적으로 칼럼을 작성한 것이 2년 전 여름이니 사실 류축르와 아시안컵은 아무 인연이 없다. 하지만 필자가 축구를 좋아하게된 것은 아시안컵과 굉장히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그때 기억과 함께 2011년 카타르 대회와 2015년 호주 대회를 간략하게 요약하고 시작하려 한다.

 

필자가 축구를 챙겨보기 시작한 첫 대회가 2011 카타르 아시안컵인지라 아시안컵 시즌이 돌아오면 감회가 색다르다. (여담으로 사실 10‘ 남아공 월드컵이 처음이지만 전 국민이 시청하는 대회였기에 축구팬이 되어 스스로 시청한 첫 경기는 카타르 아시안컵이라 말하고 다닌다. )

 

그 대회 4강, 황재원 선수가 극적인 동점골을 성공시키고 분위기를 가져왔을 때 결승 진출은 어렵지 않겠다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승부차기까지 가는 혈투 끝에 숙명의 라이벌 일본에 패했던 기억은 아직도 생생하다. 세상의 쓴맛을 이때 처음 본 것 같기도 하다. 그렇게 축구대표팀은 4강 탈락이라는 고배를 마셨고 이어진 3·4위 결정전에서 우즈베키스탄을 상대로 3:2 역전승을 거두며 유종의 미를 거뒀다.

 

 

4년 뒤, 결승전에서 개최국 호주를 만났다. 당시 부임 초기였던 슈틸리케 감독의 활약이 엄청났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기대를 하는 대회였다. 후반 추가시간 손흥민이 극적인 동점골을 성공시키며 경기를 연장전으로 끌고 가는 데는 성공했지만 연장전에서 아쉽게 역전골을 먹히며 준우승에 그쳤다.

 

 

# 아시아판 월드컵 '아시안컵(Asian Cup)'

아시안컵은 대회 명칭대로 아시아 국가들 간의 대회이다. 국제축구연맹(이하. FIFA)의 산하 조직인 아시아축구연맹(이하. AFC)에서 이 대회를 주최하며 FIFA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대회이기 때문에 이 대회의 성적은 FIFA 랭킹과 직결된다. 여담이지만 2012년 남자축구 동메달의 기적을 일궈낸 올림픽과 지난해 금메달을 따내며 월드컵의 감동을 이어간 아시안게임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그 산하 조직이 주최하는 대회이기에 FIFA 랭킹과 아무 상관없다는 점에서 더 특별한 대목이다. 

 

 

# 아시안컵 사용 설명서

아시안컵의 기본적인 내용은 앞에서 언급했으니 이번에는 알아두면 쓸모 있을 잡학한 지식들을 풀어보려 한다.

 

I. 혜택1 - 군 면제

소제목이 혼란을 초래했을 것 같다. '혜택1 - 군 면제는 없음'이라고 쓰자니 뭔가 이상해서 그냥 군 면제라고 두기는 했다. 결론부터 말하면 아시안컵에 군 면제는 없다. 꾸준히 경기에 나서 실전 감각을 유지하는 것이 생명인 현역 (남자) 선수들에게  군 면제는 선수 생활에 있어서 청신호나 다름없다. 지난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 손흥민 선수와 함께 군 면제가 대두되었던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올림픽에서의 3위 이상 성적(메달권) 혹은 아시안게임 금메달의 성적을 거둘 경우 군 면제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나라를 알리는데 크게 일조했다는 의미(국위선양)에서이다. 하지만 아시안컵에서는 그 아무리 우승을 한다고 해도 군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아시안컵이 FIFA 산하 조직 AFC의 주최로 이어지는 만큼 FIFA가 내세우는 '정치 개입의 거부'를 지키는 의미로 해석된다.

 

II. 혜택2 - 대륙 대표 자격

상금도 없고 군 면제도 없는데 그럼 왜 아시안컵이 이렇게 인기를 끄는지 궁금해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아시안컵이 아시아 최강국을 가리는 대회인 만큼 우승 팀에게는 대륙을 대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FIFA는 월드컵 개최 1년 전, 월드컵 개최 예정지에서 개최국과 대륙별 우승 팀들을 불러모아 '월드컵 예행연습' 격인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을 개최하는데 이 대회에 아시아 대표로 참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II. 한국이 아시아 최강임을 입증할 수 있는 대회

아시안컵은 대한민국이 '우승'이라는 타이틀을 현실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대회이다. 흔히 말하는 '국뽕'을 빼고 현실적으로, 객관적으로 말하면 축구대표팀이 월드컵에서 우승을 한다는 것은 힘든게 사실이다. 하지만 아시안에서 만큼은 예로부터 '아시아의 호랑이'라 불려왔고 이번 대회를 앞두고는 '최대 우승국' 일본, 각각 3회의 우승에 빛나는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그리고 '디펜딩 챔피언' 호주와 함께 5강 예상국에 무난히 이름을 올렸다. 이는 곧 우승 후보라는 뜻이기도 하다.

 

 

# 이번 아시안컵 사용 설명서

이번 UAE 대회부터 달라지는 부분이 몇 가지 있어 집중적으로 소개해보려 한다. AFC가 나름 대대적인(?) 개편을 거친 결과이다.

 

I. 출전국 수

우선 출전국 수부터 달라졌다. 이번 대회부터 16개 국가가 모여 조별예선을 치른 후 바로 8강이 진행되던 기존  방식과는 다르게 24개 국가가 조별예선을 치르고 16강 토너먼트 경기를 하게 된다. 각 조의 1,2위가 16강토너먼트 직행 티켓을 받고 6개 조의 3위 국가들 중 승점이 높은 4개 국가가 16강 진출 자격을 얻게 된다. 이는 가장 익숙한 베트남을 비롯해 동남아 국가들의 축구 열기가 날이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고 비교적 축구 약소국인 국가들도 '축구 열풍'을 겪고 있기에 긍정적인 현상을 확실하게 촉진시키려는 AFC의 의도가 엿볼 수있는 대목이다. 단순히 축구 열기만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팀의 수준들도 함께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조별리그부터 집중해야 토너먼트에 진출할 수 있을 것이고 이에 각 국가들은 보다 공격적인 경기 운영을 할테니 팬들의 눈은 더 즐거워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II. 경고 관리

16강전을 진행하게 되면서 경고 관리에 대한 내용에도 변화가 생겼다. 물론 한 경기에서 두 장의 엘로카드를 받으면 퇴장을 당한다. 하지만 월드컵과 같이 토너먼트 대회에서는 특정 기간 동안의 경기에서 경고 2장을 누적해서 받게 되면 한 경기를 쉬게 된다. (용어 정리와 설명이 부족한 것 같아 예를 들면 같은 선수가 조예선 1경기에서 한 장의 경고를, 조예선 2경기에서 한 장의 경고를 받으면 조예선 3경기를 나설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고 두 번째 경고를 받은 조예선 2경기에서 경고를 받는 순간 경기장을 떠나야하는 것은 아니다.) 

 

III. VAR (Video Assistant Referee)

다음은 축구계의 큰 변화를 주고 있는 VAR의 도입이다. (VAR과 관련된 내용은 이전에 [류종백의 축구 르네상스]에서 다룬 바가 있으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https://www.goeonair.com/news/article.html?no=5639

) 이번 대회에서도 VAR이 적용되기는 한다. 앞에서 간접적으로 언급하였듯, 아시안컵의 규모와 그 의미가 커지고 있으니 정확한 판정은 필수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든 경기에서 VAR 판정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AFC는 8강 토너먼트 경기부터 VAR 판정을 적용한다고 밝혔는데 공식적인 이유를 확인하지 못한 터라 섵불리 판단하기는 이르다. 하지만 류축르는 이를 심판들의 고유 판정도 인정하면서 정확한 판정까지 두마리 토끼를 다 잡아보겠다는 것으로 해석했다.

 

 

IV. 성과 상금

상금 없이 명예만 가지고 싸워야 했던 아시안컵에도 변화가 생겼다. 그 규모를 떠나서 AFC가 4강 진출팀을 대상으로 성과 상금을 지급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 아시아의 호랑이여, 확실한 부활을 알려라

항상 조연이었다. 숙적 일본에게 결승행 티켓을 내줄 때도, 극적인 동점골에도 불구하고 준우승에 그쳤을 때도. 축구대표팀의 최근 분위기는 상승세임이 분명하다. 지난 러시아 WC 독일전 승리 이후로 단 한 경기도 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우루과이 등 세계적인 강호들과도 대등한 경기를 펼치며 좋은 분위기 속에 아시안컵을 시작하게 되었다. 

 

매번 아시아의 호랑이라 자부했지만 '아시아의' 호랑이임을 증명하는 자리는 아시안컵이다. 그 아무리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많이 월드컵에 출전했다 해도 말이다. 

 

축구대표팀은 1956년 홍콩에서 열린 초대 대회와 1960년 자국에서 열린 대회에서 들어 올린 트로피가 마지막이다. 올해로 59년째 무관인 셈이다.

 

 

# 늦은 칼럼의 장점(?) = 이미 치뤄진 경기에 대한 (엉성한) 리뷰가 가능하다

부끄럽긴 하지만 이번 류축르 시작은 실패이다. 아시안컵의 전체적인 내용을 소개하는 칼럼인데 이미 조예선 2경기가 치러지고 있다. 

 

조예선 1경기는 얕잡아봤던 필리핀을 상대로 1:0 승리를 거두긴 했지만 마냥 시원한 승리는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키르기스스탄과의 조예선 2경기와 함께 이 칼럼을 마무리하고 있다. 다행히 전반 종료 직전 김민재의 헤딩골로 앞서나가긴 했지만 횡패스도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며 전반적으로 어수선한 분위기에서 끝이 났다. 전진하는 패스(종패스)에는 당연히 팀 동료와의 호흡, 상대의 프레싱 등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성공률이 낮을 수 있다지만 적어도 우리 진영에서 볼을 돌리는 혹은 전환을 위한 종패스는 그 어느 패스보다 정확도가 높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좋은 움직임을 가져가야 좋은 패스가 나오고 그 좋은 움직임은 적극적이고 자신 있는 선수 개개인의 투지에서 나오겠지만 말이다.

 

물론 조예선 통과만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 이러한 실수가 있더라도 승리하면 그만이겠지만 한국축구대표팀은 우승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만큼 긴 여정을 떠나려면 선수들이 결속될 수 있어야 하고 사소한 플레이 하나하나도 완벽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차범근도, 박지성도 결국엔 눈물을 흘렸던 아시안컵 우승을 다시 해낼 수 있는 기회가 눈앞에 와 있다. 지난해 소속팀 감바 오사카에서 시즌 MVP와 KFA AWARDS에서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한 황의조와 영원한 에이스 손흥민, 막차에 탑승한 이승우 그리고 베테랑 기성용과 구자철까지 감히 최고의 스쿼드로 팀을 꾸렸다. 뭔가 느낌이 좋다는 엉성한 표현밖에는 할 수 없지만 냉정하기 이전에 축구팬으로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이번 대회만큼은 우승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마음뿐이다. 

 

 

 

* [류종백의 축구 르네상스]는 경기와 관련된 내용은 물론 축구계의 트렌드를 알기 쉽게 읽어주는 축구 전문 칼럼입니다.

 

글솜씨가 뛰어난 것도 아니고 센스가 있는 것도 아닙니다. 발전하기 위해 저자세로 배워나가고자 합니다. 읽으면서 불편하셨던 부분이나 잘못된 내용, 다음 주제 추천 등을 메일(vamos_2002@daum.net)로 주시면 적극적으로 반영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