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정책에 대한 국민수용성 향상에 대한 토론 열려..

-언론의 역할을 중심으로-

 

2018년 11월 29일 목요일 국회의사당 국회의원관 제 3세미나실에서는 국회의원 우원식 · 김성환 공동 주최로 "에너지 정책에 대한 국민수용성 향상 - 언론의 역할을 중심으로"에 대한 주제를 가지고 열띤 토의가 펼쳐졌다. 이 토의에서는 민주언론시민연합 모니터 팀장 이봉우,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이창현 교수 등등 참여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에너지 정책이 과연 언론과 연관이 있을까 있다면 어떤 것일까 궁금했다. 하지만 모든 주제발표와 토의가 끝난 후 언론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최근 언론에서는 탈핵(탈 원전)보다 찬핵(찬 원전)의 이익에 관해 주로 보도한다고 민주언론시민연합 모니터 팀장 이봉우씨는 발표했다. 심지어 이 찬핵보도에서는 사실관계에 대한 선택적인 보도, 오보에 가까운 사례가 많이 발생한다고 했다.

예를 들어, ○○일보의 "막무가내 탈원전 하더니 전력모자라자 원전추가가동, 폭염에 다급해진 정부, 원전 재가동, 전력수요 예상 초월하자 탈원전 정부, 원전에 SOS" 라는 타이틀로 모든 것이 탈원전 때문이라는 듯한 사실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보도된 사례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이제 언론에서는 국민들에게 핵발전에 대한 공포감을 주어야 한다고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이창현 교수는 말했다.

 

이 외에 다른 의견으로 지난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이어 현재 대한민국을 포함한 세계의 기온이 증가함에 따라 핵발전에 따른 위험을 국민에게 알려야 한다. 또한 언론에서 의사소통을 할 때에는 단어 선택 하나에도 받아들이는 수용자의 입장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핵발전, 원자력 발전 이 두 단어 모두 같은 뜻을 담고 있지만 수용자의 입장으로서는 핵발전이 더 위협적으로 느껴진다 등등 많은 사람들이 재생에너지 관련 갈등해결, 정책수용성 증진방안 등 다양한 주제를 발표했다.

 

이런 사소한 단어 하나에도 국민들이 느끼는 것은 크나큰 차이가 있으며 보도의 내용에 따라 국민들이 바라보는 관점이 달라질 수 있어 언론의 역할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제는 국민들이 에너지 정책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지 않도록 언론이 역할을 잘 해주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이 기사 친구들에게 공유하기